공지/소식

관련뉴스

LIG넥스원, 1조7천억원 한국형 전자전기 사업 `도전장`

로**

Views 37

2025.08.19


한국형 전자전기 개념도
한국형 전자전기 개념도



LIG넥스원은 19일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 체계종합 업체로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방위사업청이 지난달부터 입찰 절차를 진행 중인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은 항공기에 전자기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임무 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 공격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전자전기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전자전기는 군사 작전이 개시될 때 우선 투입해 적의 눈과 귀를 가려놓고 역할을 해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작전 효과를 높일 수 있어
현대 전장의 필수 전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1조7천77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전자전기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기전 임무 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LIG넥스원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47년간 축적해온 전자기전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LIG넥스원이 체계통합을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전기 형상. LIG넥스원 제공
LIG넥스원이 체계통합을 추진하는 한국형 전자전기 형상. LIG넥스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LIG넥스원이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에 체계종합업체로 참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7월 15일부터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 입찰을 진행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정부가 1조 7775억원을 투자하고
국내업체가 연구개발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47년간 축적해온 전자기전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형 전자전기 연구개발 사업은 항공기에 전자기전을 수행할 수 있는 임무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전자전기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전자전기는 군사작전이 시작될 때 우선적으로 투입해 적의 눈과 귀를 가려놓고 싸울 수 있기 때문에 아군 전력의 생존성과 작전효과를
높일 수 있어 현대 전장의 필수 전력으로 꼽힌다. 방위사업청은 2023년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사업추진기본전략을, 올해 6월에
체계개발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우리나라의 전자기전 기술 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했다. 1970년대 외산장비를 국산화해 함정용 전자전장비 개발을 시작하고,
1990년대 초에는 항공기용 전자전장비를 완성하기도 했다.

LIG넥스원은 47년간 국방과학연구소와 함께 축적해온 전자기전 핵심기술을 통해 지상, 공중, 해양영역의 전자기전 무기체계를 개발해
왔다. 육군 지상전술전자전장비, K-전자방패로 불리우는 해군 함정용 전자전장비, 특히 항공전력으로 국내 최초 전투기용 전자전장비
(ALQ-200)를 시작으로 최근 항공플랫폼 SIGINT체계 및 KF-21 통합전자전장비를 개발을 목전에 두고 있다. 2023년에는 말레이시아
FA-50 RWR, 지난해에는 페루 해군 함정용 종합 솔루션 계약을 수주하며 세계 전자전 주요 업체들과 경쟁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했다.

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기전 임무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LIG넥스원은 국내에서 군용 민항기 개조
실적을 보유한 대한항공과 손을 잡았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전자전기의 핵심은 주변국의 위협신호를 끊임없이 수집·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에 전자공격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전 능력에 있다"며 "주변국 신호의 특성과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반영해 지속적으로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임무장비를 국산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LIG넥스원은 전자전기 개발사업에서 요구하는 국산화율도 달성할 수 있다"며 "언제든 소요군이 요구하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음글이 없습니다.